차이나파워와 한반도
세션소개
제 1세션 중국의 미래
강연 1 | 데이비드 샴보 조지워싱턴대 교수 |
---|---|
강연 2 | 자칭궈 베이징대학교 국제관계학원 교수 |
좌장 | 최병일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|
- 중국은 글로벌 리더국가가 될 수 있을 것인가.
- 중국이 지향하는 글로벌 리더십은 무엇인가. 중국의 국제 신질서(New Order)는 미국의 그것(자유민주주의,국제주의)과
어떻게 다른가. 시진핑의 신형 대국관계는 어떤 미·중 관계를 그리고 있나. - 중국의 정치체제는 전통적 집단지도체제에서 1인 권력집중 시대로 가면서 어떤 변화를 겪고 있는가.
- 중국경제는 하강(下降)하고 있는가. 경제적 성장한계, 양극화와 빈부차, 민주화(인권) 침체,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 감소,
환경오염 등 국력이 정점을 지나 내려가고 있다는 비판은 타당한가. - CCTV, 인공지능(AI)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‘디지털 권위주의 국가’로 가는가.
제 2세션 미-중 무역·기술전쟁
강연 1 | 웨이샤오쥔 칭화대학교 교수 |
---|---|
강연 2 | 오빌 셸 아시아 소사이어티 미중관계센터장 |
좌장 | 김종훈 전(前) 통상교섭본부장 |
- 미·중 무역전쟁은 미·중 전면 충돌로 확대될 것인가.
- 에너지 및 물류(일대일로), 국제금융 질서(AIIB), 기술 패권(제조 2025), 우주개발 등 다양한 국면에서 양국의 충돌은 불가피한가.
- 미·중 무역전쟁 진행 과정에서 한국은 어떤 영향을 받게 될 것인가.
제 3세션 중국과 한반도
강연 1 | 밍싱페이 클레어몬트 메케나대학교 교수 |
---|---|
강연 2 | 오리아나 스카일러 마스트로 조지타운대학교 조교수 |
좌장 | 신기욱 스탠퍼드대학교 아시아태평양연구소장 |
- 미·북 2차 정상회담 무산 후 북핵 문제에 대한 중국의 입장은 무엇인가
- 만약 북핵폐기 관련 미·북 합의가 이뤄지고 종전(평화)체제 전환, 점진적 남북통합이 진행된다면 중국의 역할은 무엇으로 귀결될 것인가.(중국이 그리는 향후 한반도 정세)
- 한·중의 경제적 상호의존, 환경오염 공조, 문화관광 교류에서도 긍정적 변화가 가능할 것인가.